![](https://blog.kakaocdn.net/dn/BjFsI/btr6oe6DuMs/RrLrcoK2DbhL6uKxa2IFD1/img.png)
블루투스란?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폰, 노트북,이어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저전력,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말한다.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이름의 유래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6725&cid=59014&categoryId=59014
헤럴드 블루투스 곰슨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하는 블루투스(Bluetooth)는 10세기 스칸디나비아 국가인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일했던 유
m.terms.naver.com
블루투스라는 이름은 10세기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일한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바이킹 왕 해럴드 블루투스 (Harold "Bluetooth" Gormsson)의 별명에서 따왔다. 그는 푸른이빨(Bluetooth)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는데, 블루베리를 좋아해 항상 치아가 푸르게 물들어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고, 파란색 의치를 해 넣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HgREq/btr6rxD2EgN/vPNUxLXSIwYWjFAgXH0Tv1/img.png)
기술의 공식명칭을 블루투스로 정한 SIG는 공식 로고를 덴마크 하랄의 H와 블루투스의 B를 뜻하는 스칸디나비아 룬 문자에서 따왔다.
블루투스의 역사
블루투스 통신기술은 1994년 휴대폰 공급업체인 에릭슨(Ericsson
)이 시작한 무선 기술 연구를 바탕으로, 1998년 에릭슨,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 등으로 구성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를 통해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후 블루투스 SIG 회원은 급속도로 늘어나 2010년 말 기준 전세계 회원사가 13,000여 개에 이른다.
초창기 블루투스의 전송속도는 최대 1Mbps로, 기존 기술에 비해 6배 가량 빠른 속도였다. 하지만 이는 고품질 음악이나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블루투스의 대중화는 진전이 느렸으며,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하지만 블루투스 2.0(2004년)은 최대 3Mbps, 블루투스 3.0(2009년)은 최대 24Mbps까지 속도가 올라갔고, 2010년에는 24Mbps 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손목시계용 코인 배터리로도 수년간 쓸 수 있을 정도로 소비 전력을 낮춘 블루투스 4.0까지 등장했다.
블루투스 SIG는 블루투스 스마트란 브랜드로 표현한다. 2006년 노키아의 Wibree에서 시작하였으며 2010년의 기존의 블루투스 표준과 블루투스 핵심 스펙 버전 4.0으로 통합되어 공개되었다.
블루투스의 원리
![](https://blog.kakaocdn.net/dn/c3Jiyp/btr6eVNt9ZX/iMs74YmkyQAvSTmINao8y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XxW7T/btr59ZJpB9n/jsBXaLwBwbs8TXQ2o6rVm1/img.jpg)
블루투스의 무선 시스템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2400~2483.5MHz를 사용한다. 이 중에서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막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의 채널을 쓴다. ISM이란 과학, 산업,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저전력의 전파를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쓰인다.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가 이 ISM 대역을 사용한다.
블루투스는 여러 시스템들과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간의 전파 간섭이 생길 우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취한다. 주파수 호핑이란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데이터)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을 말한다. 블루투스는 할당된 79개 채널을 1초당 1600번 호핑한다.
이러한 호핑 패턴이 블루투스 기기 간에 동기화되어야 통신이 이루어진다. 블루투스는 기기 간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 구성으로 연결되는데, 마스터 기기가 생성하는 주파수 호핑에 슬레이브 기기를 동기화시키지 못하면 두 기기 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서 다른 시스템의 전파 간섭을 피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마스터 기기에는 최대 7대의 슬레이브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 간 통신만 가능할 뿐이고 슬레이브 기기 간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역할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서로 역할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블루투스 기기 연결방법
먼저 마스터 기기, 슬레이브 기기 모두 블루투스를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헤드셋을 연결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 마스터이고 헤드셋이 슬레이브이다. 헤드폰 전원을 켜고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활성화하면 이내 주변의 모든 블루투스 기기를 탐색한다.
그중에서 연결을 원하는 헤드폰 모델을 선택하면 즉시 페어링 (pairing, 두 기기를 한 쌍으로 묶는다는 것)된다. 블루투스 기기에 따라 연결 시 암호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노트북에 블루투스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연결하는 경우가 그렇다.
MS 윈도우 운영체제의 경우에는 작업 표시줄에서 블루투스 아이콘을 클릭하여 ‘장치 추가’ 메뉴를 선택한 다음, 블루투스 기기를 탐색하여 연결하면 된다. 필요에 따라 연결 암호를 입력하여 연결을 완료하면 되는데, 암호는 일반적으로 슬레이브 기기에 부여된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한다. 덧붙여 일단 한번 연결되면 그 이후부터는 각 기기의 전원과 블루투스를 켤 때마다 자동으로 연결이 된다.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헤드셋이나 키보드는 있어도 정작 마스터 기기가 될 노트북, 휴대폰이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블루투스 동글(dongle), 즉 중계기를 사용하면 된다. 이 동글은 일반적으로 USB메모리 모양을 하고 있어서 USB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기기에 따라 별도의 전용 동글이 필요할 때도 있다.
블루투스의 취약점
블루투스를 켜 놓은 상태에서는 해킹 당하기 쉽다는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다. 마음만 먹으면 블루투스 동글을 장착한 노트북으로 지나가는 사람들의 블루투스 휴대폰 속 정보를 빼 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해킹은 블루재킹(bluejacking), 블루스나핑(bluesnarfing), 블루버깅(bluebugging)으로 나뉘는데, 이 중 블루재킹은 단순히 스팸메시지를 뿌리는 수준으로, 귀찮기는 하지만 보안에는 큰 위협을 가하지 않는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일정표, 전화번호,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에 접근하는 블루스나핑, 희생자의 휴대폰을 원격 조종하여 통화내용을 엿듣는 블루버깅의 경우, 치명적인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블루투스 SIG도 이 부분에 대하여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다. 새 기술을 공개할 때마다 꾸준하게 개인정보 보호나 보안연결에 대한 부분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블루투스의 취약점을 보안하려면 개인의 정보보호 의식도 중요하다. 공공장소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는 가급적 신중하게 사용하고, 안티 바이러스나 방화벽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안 제품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자료출처
블루투스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한다.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
m.terms.naver.com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6825&cid=58369&categoryId=58369
블루투스
[ 1. 어떻게 태어났나?] BLE는 무선 이어폰/헤드폰에 가장 많이 적용된 기존의 무선개인영역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기술의 하나인 블루투스를 관장하는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net Group)가 비슷
m.terms.naver.com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빅데이터 분석가 하는 일,자격,전망,연봉 (0) | 2023.03.28 |
---|---|
빅 데이터(big data)뜻,의미,정의,특징,핵심기술,활용/응용사례 (0) | 2023.03.28 |
[IT/의료]AI(인공지능),뇌동맥류의 진단을 돕는다. (0) | 2023.03.28 |
[IT용어]랜선 친구 뜻,생겨난 이유,그외[인터넷 문화] (0) | 2023.03.28 |
[IT직업]시스템운영관리자 하는 일, 자격증, 학과, 연봉, 전망 (0)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