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란?
인터페이스는 어떤 사물의 경계가 되는 부분과 그 경계에서의 통신이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개체나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컴퓨터 분야에서는 인터페이스를I/F로 축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인터페이스의 종류
크게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세 가지로 구분한다.
1.하드웨어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는 컴퓨터를 비롯한 정보 기기의 하드웨어 간 통신을 위해 존재하는 입출력 포트의 전기적 연결 장치인 커넥터(connector)나 신호의 송수신 방법(프로토콜) 등을 말한다.
컴퓨터 관련 버스, 저장 장치 등 다양한 입출력 기기들 내에 존재하며, 주로 병렬 연결과 직렬 연결로 나뉜다. 컴퓨터 내부 장치나 구성 요소간의 상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플러그, 카드 등이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 속한다.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의 종류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직렬 커넥터, RS-232C와 같은 통신용 직렬 인터페이스,그리고 SCSI와 같은 병렬 인터페이스 장치 등이 있다.
2.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을 위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 등이 결정된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여러 레벨에서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운영체제와 하드웨어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부터,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이 상호 작용하는 인터페이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응용 내 객체들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소드 등이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에 속한다. 소프트웨어 설계 시에는 자원에 대한 접근을 잘 정의된 진입점(entry point), 다시말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에 대한 안정성과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3. 사용자 인터페이스(영어:user interface, UI)
사용자 인터페이스란 기계, 특히 컴퓨터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 작용과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컴퓨터 상호 작용(HCI : human-computer interaction) 혹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MMI : man-machine interface),유저 인터페이스라고도 불린다.
크게 입력과 출력의 두 가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입력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을 정의하며, 출력은 사용자가 조작에 따라서 시스템이 생성한 결과를 제시하는 수단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심리학과 생리학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요소를 쉽게 찾아 사용하며 정확한 결과를 손쉽게 얻어낼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텍스트, 그래픽, 음성 정보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시퀀스에 대한 상호 작용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종류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al user interface),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WUI : web user interface), 명령 줄 인터페이스(CLI : command-line interface), 배치 인터페이스(batch interface), 터치 인터페이스(touch interface),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이 있다.
그 외
* 물리 인터페이스는 하드웨어나 회로가 서로 연결되어 동작하기 위한 USB, IEEE 1394와 같은 물리적 접점이다.
* 인간과 인간 간의 인터페이스는 통신의 관점에서 보면 물리적으로는 전화나 휴대 전화가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가상적으로는 유/무선 네트워크가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
자료출처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용어]근거리 통신망(LAN) 뜻,개념,구성 형태 (0) | 2023.03.29 |
---|---|
[IT기술]딥 러닝(Deep Learning)뜻,역사,종류,모델,현황,국내연구 (0) | 2023.03.29 |
OS(운영체제)뜻,개념,역할,관련 직업,용어,예시[operating system/공학] (0) | 2023.03.29 |
PDA(개인용 정보 단말기) 특징과 역사 (0) | 2023.03.29 |
[IT용어/기술]머신러닝-뜻,종류,단계,예시,전망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