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톱박스란?
셋톱박스는 쌍방향 디지털 방송을 위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이다.
TV수상기와는 별도로 통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가 부착되며
'텔레비전 위에 설치한 상자'라는
의미에서 셋톱박스라는 명칭이 붙었다.
셋톱박스의 역할
셋톱박스는 지상파나 케이블, 위성으로 전달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TV 등 디스플레이 장치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변환장치이다. 다시말해 방송신호를 튜너로 수신한 뒤 디코더를 이용하여 영상이나 음성, 문자 등으로 변환해 TV에 송출해 주는 것이다.
이렇게 셋톱박스는 TV수상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방송 프로그램이나 주문형 비디오(VOD) 등의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위성방송이나 케이블방송 서비스, IPTV 서비스를 통해 TV콘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한 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망을 통해 비디오 서버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압축신호를 원래의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복원해준다.
TCP/IP 등 프로토콜과 웹브라우저를 가지고 있어 전화 회선, 케이블 TV용 회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는 경우도 있다.
셋톱박스의 구성
전송 방식에 따라 각각 다른 구조를 갖지만 크게 폰트 끝(Font-end) 부문과 백엔드(Back-end; MPEG2, 디코더 칩, 디멀티플렉서 (demultiplexer), 그래픽,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서),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PVR 기능이 통합된 셋톱박스는 더 큰 메모리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또다른 튜너와 복변조기를 필요로 한다.
셋톱박스 종류의 구분 기준
셋톱박스는 화질이나 방송 매체, 사업자 성격, 녹화 가능 여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누어진다.
1. 화질에 따라 SD1)급(표준 화질)과 HD2)급(고화질)으로 구분되는데, 해상도에서 앞선 HD가 SD보다 약 4배 정도 선명하다.
2. 방송 매체에 따라서 케이블용, 위성방송용, 지상파용, IP용으로 구분된다. 현재 위성방송용 셋톱박스의 비중이 약 50~60%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이 케이블, 지상파, IP 순이다.
3. 셋톱박스는 방송 사업자의 성격에 따라 무료방송용(FTA3))과 유료방송용(CAS4))으로 나누어진다.
4. 녹화 가능 여부에 따라 PVR 기능이 장착된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으로 구분된다.
관련자료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41816
셋톱박스 연결방법
자료출처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40058&cid=40942&categoryId=32828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3611979&cid=58598&categoryId=59316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직업]데이터 엔지니어(Data Engineer) 하는 일,필요 역량,연봉,전망 (0) | 2023.04.04 |
---|---|
[IT기술]근거리통신(NFC) 뜻,특징,실행조건,적용사례 (0) | 2023.04.04 |
[IT용어]증강 가상(Augmented Virtuality,AV)뜻,증강 현실과의 차이,예시 (0) | 2023.04.04 |
[IT]360도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카메라는? (0) | 2023.04.04 |
[IT직업]전산시스템운영원 하는일,필요학력,숙련기간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