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컴퓨터 운영체제(OS)의 시작과 기능[IT/공학]

녹차한잔 2023. 4. 3. 16:45

 

운영체제의 시작

컴퓨터에 전원이 들어오게 되면 중앙처리장치(CPU)가 초기화되며,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된 바이오스(BIOS)라는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여기서 바이오스는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캐시, 키보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 하드웨어 장치의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만약 이상이 있을 경우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동작을 멈추고, 아무 이상이 없을경우 바이오스는 보조기억장치의 부트 섹터에 저장된 부팅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로 이동시킨다.

부팅 프로그램은 보조기억장치의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이동시키며, 운영체제의 첫 번째 명령어가 실행되도록 분기한다. 이후로는 운영체제가 컴퓨터의 동작을 담당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부팅(booting)이라고 한다.

운영체제의 기능

운영체제(operating syste,OS)는 크게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 번째는 가상적인 컴퓨터의 제공이며, 두 번째는 컴퓨터 시스템 자원의 관리이다. 이 두 가지 기능은 독립적이기 보다는 상호 연관을 갖는 개념이다. 이제 이 두 가지 기능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자.

1. 가상적인 컴퓨터의 제공

사용자에게 복잡한 하드웨어가 아닌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환경을 제공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문서를 작성하여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문서를 저장할 수 있는 보조기억장치의 빈 영역을 찾아 저장한다. 또한 저장만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 문서가 어느 트랙의 어느 섹터에 저장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역시 하나하나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해야 다음에 이 문서를 읽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행히도 운영체제가 이런 복잡한 일을 책임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그저 저장 명령만 내리면 된다. 이렇게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복잡한 하드웨어를 몰라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가상적인 컴퓨터 환경을 제공한다.

2. 컴퓨터 자원 관리

컴퓨터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프로그램, 파일 등 다양한 자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자원은 운영체제에 의해 관리되는데, 운영체제가 자원을 관리하는 간단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최근의 컴퓨터는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주기억장치에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동작한다. 하지만 중앙처리장치는 한 순간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 중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런 일을 사용자가 하는 것은 큰 부담이겠지만, 다행히 운영체제가 이런 일을 담당한다.

자료출처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70379&cid=51173&categoryId=51173 

 

운영체제의 시작

이런 운영체제가 어떻게 시작되는지 살펴보자. 컴퓨터에 전원이 들어오면 중앙처리장치가 초기화되고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된 바이오스(BIOS)라는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바이오스는 중앙처리

m.terms.naver.com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70380&cid=51173&categoryId=51173 

 

운영체제의 기능

운영체제는 크게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가상적인 컴퓨터의 제공과 컴퓨터 시스템 자원의 관리다. 이 두 기능은 독립적이기 보다는 상호 연관을 갖는 개념이다. 가상적인 컴퓨터의 제공이

m.terms.naver.com

 

관련 포스팅

2023.03.29 - [IT] - OS(운영체제)뜻,개념,역할,관련 직업,용어,예시[operating system/공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