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로봇(Robot)뜻,역사,응용분야,전망

녹차한잔 2023. 4. 7. 11:11

 

로봇이란?

로봇이라는 말은 체코어의 ‘일한다(robota)’는 뜻이다.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의 작가 K.차페크가 희곡 《로섬의 인조인간:Rossum’s Universal Robots》을 발표한 이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로봇은 사람의 모습을 한 조형물 내부에 기계장치를 조립해 넣고, 손발과 그 밖의 부분을 사람처럼 동작하는 자동기계를 가리켰다. 외형이 사람과 흡사한 경우 인조인간(人造人間)이라고도 불렀다.

 

 

 

 

 

 

로봇의 역사

인조인간을 만들기 위한 시도는 고대부터 있었다. 그리스,로마 시대 및 기원전에는 종교의식의 한 도구로 만들어졌으며, 중세에는 건물의 문을 열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자동인형이 있었다. 이들 자동인형은 장식용이었거나 사람들을 놀라게 하거나 또는 신(神)과 결부시켜 지배자의 권위를 과시하는 데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 자동인형의 제작은 과학기술의 진보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는 못하였다. 20세기에 들어와서도 자동인형의 제작은 여러 방식으로 시도되었고, 과학이나 기술이 진보되어 예전보다는 정교하게 만들 수 있었는데, 상품 전시용이나 박람회의 관객 유치용일 뿐, 실용적인 것은 아니었다. 이런 로봇 가운데 유명한 것은 1927년 미국의 웨스팅하우스전기회사의 기사 R.J.웬즐리가 제작한 텔레복스(Televox), 영국의 리처즈가 만든 에릭(Eric) 등이 있다. 모두 기계기술이나 전기기술을 응용하였으며 전화의 응답도 할 수 있는 정교한 것이었다.

 

로봇개발 초창기에는 무선에 의한 원격조종에 의하여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형태의 로봇들이 제작되어 방위산업에 많이 응용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음성인식, 자동발성 기술 등을 조합하여 사람들의 질문에 대답하기도 하며, 손과 발을 교묘히 움직여 커피잔을 옮기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는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동작이 정교하게 만들어졌어도 아직까지는 동작에 한계가 있고 별로 실용적이지 못하지만 현재의 기술개발 속도에 비추어보아 가까운 미래에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짐작된다.  실용면에서 사람의 모습을 닮지는 않았지만 인간의 동작과 같은 동작을 하는 로봇이 점차 개발되고있으며, 여러 방면에서 로봇을 응용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원래 기계는 생산수단으로 산업구조에 배치되었는데, 사회환경의 다극화에 대응하여 로봇을 여러 가지 이상환경에 적응하는 기계로 등장시키게 되었다. 또한 자동제어기술이나 원격조종기술의 진보에 따라 우주나 해저, 고온이나 저온 등의 위험한 환경에서의 작업 또는 아주 단조로운 작업 등은 모두 인간에게는 부적합한 것인데, 현재 이런 이상환경에서 로봇의 응용분야가 확대되는 중이다.

 

로봇의 응용분야

로봇의 응용분야는 대체로 산업용 ·의료용 ·우주용 ·해저용으로 분류된다.

 

산업용

자동차 생산과 같은 기계가공 공업에서는 사람의 팔이 하는 작업을 한 번만 가르쳐 주면 몇 시간이든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산업로봇이 많이 가동되고 있다.

의료용

의료용 분야에서는 팔이 없는 사람의 의사(意思), 즉 운동신경으로부터 보내 오는 명령을 근전위(筋電位)로 꺼내서 모터를 구동시키는 의수(義手)가 실용화되어 있다.

우주용

우주개발에 있어서는 현재 러시아의 자동월면차(自動月面車) 루노호트(Lunokhod)와 같은 원격조종형 로봇이 개발되어 있다. 최근에는 로봇을 조종형 ·자동형 및 자율형으로 나눈다.

조종형은 사람의 손이나 발에 해당하는 기능을 가진 기계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조종하는 방식을 말하며, 텔레오퍼레이터 시스템(teleoperator system)이라고도 한다.

자동형으로는 현재 널리 산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산업 로봇이 있다. 미리 순서를 가르쳐 주면 그것을 기억하고 있어서 반복하는 형식이다. 자동형은 자율형의 과도적 존재이기도 하다.

자율형이란 로봇 스스로가 현재의 자기 자신의 상태와 환경 상태를 알아차리고 명령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이 형이야말로 원래 로봇이라고 할 수 있다.

로봇의 전망

현대차그룹은 전 세계 로봇시장이 기술 혁신과 자동화 로봇 수요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2020년 444억달러(약 58조원) 정도였던 전 세계 로봇시장은 2025년 1772억달러(약 231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김영우 에스케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로봇 산업 전망이 아주 밝지만,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 오토스토어 등 선진 기업과의 격차가 아직 큰만큼 국내 업체간 시장선점 경쟁도 매우 치열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http://m.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367 

 

2022년 국내 로봇 이슈 전망

2022년 임인년 새해가 밝았다.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면서 올해에는 국내 로봇업계에 어떠한 일들이 벌어지고 어떻게 흘러갈지 전망해 보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지난 해 역시 코로나 팬데믹으

m.irobotnews.com

 

 

참고자료-2022년 국내 로봇 이슈 전망

자료출처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8296&cid=40942&categoryId=32351 

 

로봇

스스로 보유한 능력에 의해 주어진 일을 자동으로 처리하거나 작동하는 기계. 일반적으로 로봇을 상상할 때에는 사람의 모습을 한 조형물 내부에 기계장치를 조립해 넣고, 손발과 그 밖의 부분

m.terms.naver.com

 

https://m.hani.co.kr/arti/economy/marketing/1055877.html

 

뜨거워지는 서비스 로봇 시장…삼성·LG전자 경쟁에 현대차까지 가세

LG는 B2B로 빠르게…삼성은 B2C로 신중하게현대차는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해 뛰어들어

www.hani.co.kr

 

https://m.mk.co.kr/news/business/view-amp/2022/08/732610/

 

 

2023.04.07 - [IT] - [기계]로봇청소기 역사,종류,가격

 

[기계]로봇청소기 역사,종류,가격

​ 로봇청소기는 사물을 인식,판단하는 지능형 로봇의 일종으로, 청소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가정용 서비스 로봇이다. ​ 로봇청소기의 역사 ​ ​ 지능형 로봇 분야는 1990년대부터 발전

lilac3511.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