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부동산 용어]주택청약가점제 뜻,유의할 점,의의,비판

녹차한잔 2023. 3. 19. 16:32

주택청약가점제란?

실제 주택을 구입하고자 하는 실수요자에게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가구주의 나이나 청약통장 가입기간, 무주택기간, 부양가족 수 등에 따라서 각각 점수를 매긴 뒤 총점이 높은 순으로 주택을 분양하는 제도를 말한다. 기존의 추첨제를 대체하여 2007년 9월부터 시행된 주택청약제도이다.

유의할 점

가족 수가 많고, 무주택기간과 청약통장 가입기간이 길수록 청약 당첨에 유리하다. 하지만 청약을 신청하면서 무주택기간과 부양가족 수 항목을 잘못 기재한 경우, 당첨 취소 혹은 청약자격 제한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의의와 비판

주택청약제도는 시장상황에 따라서 끊임없이 발전하고 변화되어 왔다. 주택의 절대부족 시대에 과열된 청약열기를 진정시키고, 금융위기 등으로 침체된 분양시장을 부양시키기 위한 경기 조절수단으로써 주역을 담당해 왔다. 

하지만 이 제도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길어지면서 이 제도가 큰 집으로 이사 가려는 수요자의 분양 시장 진입을 막는다는 비판이 있었다. 그리고 청약 시 경쟁률이 저조해서 쓸모없는 제도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이에 정부는 가점제 비율을 도입 당시 75%에서 85m2 이하 민영주택의 경우 40%로 낮췄으며, 나머지는 추첨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2017년부터는 85m2 이하 민영주택 청약 시 시장·군수·구청장이 40% 한도 내에서 비율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했다.

자료출처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0188&cid=43667&categoryId=43667 

 

 

주택청약가점제

기존의 추첨제를 대체해 2007년 9월부터 시행된 새로운 주택청약제도. 실제 주택을 구입하고자 하는 실수요자에게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가구주의 나이, 청약통장 가입기간, 무주택기간, 부양가

m.terms.naver.com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59016&cid=46673&categoryId=46673 

 

주택청약제도

청약관련 예금을 통하여 일정한 요건을 갖춘 자에게 동시분양되는 아파트에 청약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제도. [내용] 분양주택은 크게 국민주택, 민영주택 및 중형국민주택으로 구분되는데, 주

m.terms.naver.com

 

관련자료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925&cid=43659&categoryId=43659 

 

청약가점제

노무현 정부 당시 부동산 공급부족과 과도한 통화팽창으로 주택가격이 폭등하면서 분양주택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자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마련한 주택수요 통제정책 중 하나이다.

m.terms.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