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알렉산더 테크닉 개념,원리,특징[자세교정,건강]

녹차한잔 2023. 3. 16. 10:56

 

알렉산더 테크닉의 개념

알렉산더 테크닉은 원래 연극배우였던 프레더릭 마티아스 알렉산더(Frederick Matthias Alexander)가 처음 창안한 용어이다.

이 알렉산더 테크닉은 한국에서는 자세술(姿勢術)로 알려져 있는데, 기본 동작인 ‘등줄기를 펴고’ ‘턱을 당기고’ ‘머리를 위로’ ‘머리를 자유로’를 항상 의식하면서, 몸 전체를 각성해 자기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방법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유아인과 베네딕트 컴버베치 등이 한 것으로 조금 알려져 있다.

 

 

원리

알렉산더 기법의 기본 원리는 스스로 일상생활에서 자기 자신을 조절하는 방법, 즉 움직이고 숨 쉬고 말하고 생각하며 반응하는 방법을 재교육하는 것인데, 이는 다시 말하자면 일상에서 갖게 되는 습관들을 더 잘 인식하게 함으로써 어떤 행동을 할 때 어떻게 자신의 몸을 구조적으로 적절히 움직여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자극에 대해서 자신의 몸을 어떻게 잘 반응하게 만드는지에 대해서 자신이 깨닫게 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책상에 앉아 있는 자세가 머리가 앞으로 숙여 있고 등은 앞으로 휘어 있으며 무릎은 엉덩이보다 올라가 있는 경우, 이러한 자세는 척추에 무리를 주어서 요통뿐 아니라 많은 관련 질환을 유발하고, 피로와 두통증상을 초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머리를 곧바로 세우고 허리를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척추에 큰 힘이 들지 않게 하여 힘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갖게 하면 이런 증상들이 사라질 수 있다.

아래는 테크닉에서 말하는 구체적인 원리들에 대한 소개이다.

중추조절 (Primary Control)

'머리-목-몸통의 관계(head-neck-back relationship)'라 불리는 중추조절은 몸의 복잡한 기능을 통합하여 단순하게 제어하는 과정을 말한다. 알렉산더 테크닉에서는 이를 통해 복잡한 여러 반사체계를 비교적 단순화해서 조절할 수 있다고 말한다.

자제심 (Inhibition)

자제심이란 자극과 반응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 불필요한 반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원리이다.

이것은 학습된 패턴에서 벗어나 새로운 신경 네트워크를 형성해 감정, 사고, 행동 수준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다.

주어진 자극에 대한 특정 반응을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멈춤의 기술을 훈련함으로써, 무의식적 충동과 부적절한 긴장반응을 스스로 자제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목적의식 (End-gaining)

알렉산더 테크닉에서는 현대인의 대부분의 긴장과 스트레스의 원인을 무언가를 성취하기 위한 강력한 집착때문으로 보고 있다. 때문에 이를 자제하도록 한다.

디렉션 (Direction)

무의식적인 반사를 자제하면서 중추조절을 회복하기 위해서 알렉산더 테크닉에서는 언어적 지시어(디렉션 Direction)를 사용한다.

판단하지 않음 (Non Judgement)

알렉산더 테크닉에서는 인간의 감각인식은 쉽게 오류가 생길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즉각적인 판단을 할 경우 습관적 반응이 일어난다고 보고있다. 따라서 모든 훈련은 가능하면 판단을 보류하고 무심하게 한다.

진행과정 (Mean’s Where by)

무언가 성취하려는 즉각적인 반응을 자제하고, 순간 속에 깨어 있는

원리이다.

넌두잉 (Non-doing)

위의 목적의식(End-gaining)을 자제하고 디렉션(Direction)을 주면 우리 몸에서는 자연스러운 흐름이 생기고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몸이 사용되는 것을 넌두잉(Non-doing)적인 몸의 사용이라고 말한다.

특징

알렉산더 테크닉에서는 개개인이 스스로 감춰진 긴장을 찾아 느끼게 하고, 비뚤어진 근육을 펴고, 근육의 움직임이 보다 균형 있고 조화롭게 되도록 요구한다.

이렇게 되면 일상생활에서도 의식적으로 해로운 긴장을 피하게 되며, 보다 자연스러운 자세로 고쳐 나가는 것과 함께 긴장상태에서 빠져나오는 행동방식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알렉산더 기법은 의학적 치료기술도 아니고 요가나 명상 혹은 이완치료의 한 종류도 아니지만, 실제로 배워서 이용할 때 업무와 관련된 반복되는 경축, 긴장, 긴장에 의한 사지마비, 요통, 거북 목, 목이 뻣뻣함, 약한 호흡, 소화기 문제, 심장과 혈액 순환문제 등 많은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병적 상태를 효과적으로 호전시키고 건강관리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증명되고 있다.

반응형